유초23 2024. 1. 17. 16:39
728x90

스터디에서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책을 읽으며 요약하고, 서로 모르는 부분 질문하면서 대답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하여따 !


* [22장 this]    >    [p.342 ~ p.358]

- 생성자 함수를 정의할 때,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특수한 식별자가 필요한데,  자바스크립트는 this라는 식별자를 제공한다.

 

- this는 자기 참조 변수이다.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 함수를 호출하면 arguments 객체와 this가 암묵적으로 함수 내부에 전달되고, 코드 어디에서든 참조 가능하며 지역변수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 단, this가 가리키는 값(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 this는 자기 참조 변수이므로 일반적으로 객체의 메서드 내부 또는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만 의미가 있다. 

 

-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는 4가지 방법이 있다.

 

- 첫번째로 일반 함수 호출을 할때에는 기본적으로 this에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중첩 함수와 콜백함수도 같다. strict mode가 적용된 일반 함수 내부의 this에는 undefined가 바인딩된다.

 -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나 콜백 함수의 this 바인딩을 메서드의 this 바인딩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1. this 바인딩을 새로운 변수에 할당하는 방법

2. 콜백 함수에 명시적으로 this를 바인딩하는 방법

3.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두번째로 메서드를 호출할 때에는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소유한 객체가 아닌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 여기에서 메서드는 객체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별도의 객체이다.

 

- 세번째로 생성자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생성자 함수 내부의 this에 생성자 함수가 미래에 생성할 인스턴스가 바인딩된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해야 한다는 점이다.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지 않으면 생성자 함수로 동작하지 않는다.

 

- 네번째로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간접호출을 하는 방법이다. apply와 call 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첫번째 인수로 전달한 특정 객체를, 호출한 함수의 this에 바인딩한다. 유사 배열 객체에 apply와 call 메서드를 이용하면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bind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하지는 않고, 첫번째 인수로 전달한 값으로 this 바인딩이 교체된 함수를 새롭게 생성해 반환한다.


* [24장 클로저]    >    [p.388 ~ p.416]

-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 렉시컬 스코프란 ?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저장할 참조값(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함수가 정의된 환경(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함수를 정의한 위치에 의해 정적으로 결정되고 변하지 않는다.

 

- 렉시컬 스코프가 가능하려면 상위스코프를 기억해야 한다.

 

- 클로저란 ? 외부함수보다 중첩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중첩함수는 이미 생명주기가 종료한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의 중첩함수를 의미한다. ( = 외부 함수가 소멸해도 반환된 중첩함수는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고,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든 상관없이 함수는 언제나 자신이 기억하는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으며, 식별자에 바인딩된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 상위 스코프의 어떤 식별자도 참조하지 않는 함수는 클로저가 아니다.

 

- 외부 함수의 외부로 중첩 함수가 반환되지 않으면 외부 함수보다 중첩 함수가 생명주기가 더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중첩 함수는 클로저라고 하지 않는다.

 

- 자유변수란 ? 클로저에 의해 참조되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를 의미한다.

 

- 모던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 중에서 기억해야 할 식별자만 기억한다.

 

- 클로저는 상태가 의도치않게 변경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은닉하고 특정 함수에게만 상태 변경을 허용하여 상태를 안전하게 변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 프로토타입 메서드여도 즉시 실행 함수의 자유변수를 참조할 수 있다.

 

- 어떠한 함수를 호출해 함수를 반환할 때, 자신만의 독립된 렉시컬 환경을 갖는 함수를 반환할 수도 있다.

 

- 캡슐화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인 메서드를 하나로 묶는것을 말한다. 이는 정보 은닉이라고도 한다.

 

-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모든 프로퍼티와 메서드는 기본적으로 Public하다.

 

- 인스턴스 메서드를 사용한다면 자유변수를 통해 private을 흉내낼 수는 있지만, 프로토타입 메서드를 사용하면 불가능하다. => 현재는 클래스에 private 필드를 정의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 사양이 제안되어 있다.

 

- for문의 변수 선언문에서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기보다는 let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는것이 좋다 !

 

- let이나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반복문은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할 때마다 새로운 렉시컬 환경을 생성하여 반복할 당시의 상태를 저장한다. 이는 반복문의 코드 블록 내부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의미가 있다.


* [26장 ES6 함수의 추가 기능]    >    [p.469 ~ p.491]

- ES6 함수

ES6 함수의 구분 constructor prototype super arguments
일반함수(Normal)
(함수 선언문 /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
O O X O
메서드(Method) X X O O
화살표 함수(Arrow) X X X X

 

- ES6 메서드는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을 의미한다. 또한,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 할 수 없으며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고,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는다.

 

- ES6 메서드는 자신을 바인딩한 객체를 가리키는 내부 슬롯을 가지며, 이가 아닌 함수는 super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

 - 화살표 함수는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해야 한다.

EX)

const multiply = (x,y) => x*y;
multiply(2,3); // 6

 

- 객체 리터럴을 반환하는 경우 객체 리터럴을 소괄호로 감싸주어야한다. [예제 26-18]

 

- 화살표 함수도 즉시 실행함수로 사용할 수 있다. [예제 26-21]

 

- 화살표 함수도 Array.prototype.map, Array.prototype.filter, Array.prototype.reduce 같은 고차 함수에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예제 26-22]

 

- 화살표 함수는 콜백 함수로서 정의할 때 유용하다.

 

- 화살표 함수에서는 중복된 매개변수 이름을 선언할 수 없다.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arguments, super, new.target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 렉시컬 this란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바인딩을 가지지 않으므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참조하면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참조하는것을 의미한다. => 화살표 함수의 this가 함수가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화살표 함수와 화살표 함수가 중첩되어 있다면 스코프 체인 상에서 가장 가까운 상위 함수 중에서 화살표 함수가 아닌 함수의 this를 참조한다.

 

- 화살표 함수가 전역 함수라면 화살표 함수의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 화살표 함수는 Function.prototype.call, Function.prototype.apply,  Function.prototype.bind 메서드를 사용해도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를 교체할 수 없다.

 

- 일반적인 메서드와 프로토타입 객체의 프로퍼티에 화살표 함수로 정의하면 결과가 원하는대로 나오지 않는다.

 

-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super을 참조하면 상위 스코프의 super을 참조한다. arguments도 마찬가지이다. 

 

- 화살표 함수로 가변 인자 함수를 구현해야 할때는 반드시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다. 이는 먼저 선언된 매개변수에 할당된 인수를 제외한 나머지 인수들로 구성된 배열이 할당된다.  또한 Rest 파라미터는 단 하나만 선언할 수 있다.

 

- 매개변수 기본값은 매개변수에 인수를 전달하지 않은 경우와 undefined를 전달한 경우에만 유효하다.

 

- 매개변수 기본값은 함수 정의 시 선언한 매개변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 객체의 length 프로퍼티와 arguments 객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우리 스터디의 2주차 모임 사진 ~

 


 

 

728x90